안녕하세요 참깨비입니다.
저는 요즘 하는 게임이 몬스터 헌터 월드 딱 하나뿐인데요.
글 쓰는 날 기준(25년 2월 27일)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출시가 바로 내일, 진짜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워낙 고사양으로 게임이 출시가 되다 보니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해야 할까 아니면 지금 스펙으로 가능할까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 국민 사양(?)쯤으로 볼 수 있는 제 컴퓨터의 설정과 벤치마크 결과를 보여드리려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할만하다! 입니다. 설정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중간 내용은 생략하고 하단의 세팅법으로 이동하셔도 좋습니다.)
몬스터 헌터 와일즈 벤치마크 하는 법
Pre-purchase Monster Hunter Wilds on Steam
The unbridled force of nature runs wild and relentless, with environments transforming drastically from one moment to the next. This is a story of monsters and humans and their struggles to live in harmony in a world of duality.
store.steampowered.com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링크로 들어가시게 되면 벤치마크를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해 주세요!
몬스터 헌터 와일즈 권장 사양
일단 먼저 벤치마크 점수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와일즈 벤치마크를 진행하면 결과 창에서 점수가 나오게 되는데요. 그 점수의 의미는 위 사진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 결과창에서 보여드리겠습니다!)
캡콤 사이트에 기재된 옵션별 권장 사양인데요. 이게 말장난 같은 게 프레임 생성 기준으로 했을 때의 프레임률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프레임 생성(FG)이란?
- 그래픽 카드가 AI 등을 이용해서 중간 프레임을 생성해 화면에 표시되는 프레임을 올려주는 기능입니다.
이렇게만 말하면 '겁나 좋은 기능인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일단 프레임 생성 기능을 활성화하면 레이턴시가 15~20ms 정도 늘어나게 됩니다.
15~20ms는 0.015초~0.02초이기에 사실상 사람이 느끼기 어려운 수준이지만 프레임률에 따른 지연율을 합하게 된다면 레이턴시는 100~110ms 이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생성을 끈 상태에서 프레임이 30 프레임이 나온다면 30 프레임에서의 레이턴시는 약 95ms이며 여기서 프레임 생성을 켠다면 화면에 송출되는 프레임은 60으로 올라가게 되지만 레이턴시는 약 110ms 가량이 됩니다.
몬헌과 같이 프레임 단위의 회피가 필요한 게임에서 0.1초는 엄청나게 큰 차이라고 볼 수 있죠.
추가로 60 프레임에서의 지연율을 약 47ms 정도 됩니다.
그래서 와일즈에서는 프레임 생성을 끄고 벤치마크를 진행했을 때 프레임이 60 이상은 나와야 프레임 생성을 켰을 때 지연율이 약 65ms 정도 되며 이는 어느 정도 감안하고 할 수 있는 수치로 볼 수 있겠습니다.
정리해 보자면
프레임 생성을 끈 상태로 60 이상의 프레임이 나올 정도로 옵션을 타협본 이후에 프레임 향상을 위해 프레임 생성을 켜야 한다는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근데 기본적으로 프레임 생성 끄고 프레임이 100 이상 나오는 초고사양 pc를 이용 중이신 분들은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ㅋㅋ
라이젠 5600 + RTX4060 최적화 세팅
위 프레임 생성 설명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벤치마크의 평균 프레임이 60 이상이 되도록 옵션을 타협한 이후에 프레임 생성을 켜도록 할 건데요.
아무래도 와일즈가 고사양으로 나온 만큼 최저 프레임이 60 방어가 힘든 구간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풀이 많은 초원이나 마을 등)
그래서 최대한 평균 프레임이 70 이상 나오게 옵션을 타협할 예정입니다. (그래도 40~50대까지 떨어지는 구간이 있어요 ㅠㅠ)
그래픽 설정
일단 설정에 앞서 DLSS에 대해 먼저 설명하자면
DLSS란 설정된 해상도보다 한 단계 낮춘 뒤 AI를 통해 업스케일링 하는 기능입니다.
사실 FHD는 낮출 해상도가 없거나 있더라도 일부분이라 FHD에서는 DLSS를 켠 뒤 업스케일링에서 DLAA 설정을 하는게 낫다고 하더라고요.
낮출 해상도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DLSS를 켜게 된다면 화질이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이 부분이 거슬린다면 DLAA로 하시면 됩니다. (평균 프레임 차이가 5~10 정도 나더라고요)
일단 해상도는 1600 x 900과 1920 x 1080 두 개로 테스트해 봤는데요(1280 x 720 은 도저히 못 봐주겠어서...)
아래 dlss부분에서 설명할거지만 1920 x 1080 해상도에 DLAA 설정을 하면 프레임이 도저히 나오지 않아서 1600 x 900 + DLAA 로 했을 때 화질 찢어짐도 잡히고 프레임도 어느정도 나왔습니다.
즉, '1920 x 1080 + DLSS(균형) = 1600 x 900 + DLAA'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실질 적으로는 후자가 평균 프레임 4프레임 정도 낮습니다.
1920 x 1080 + DLSS(균형)
일단 기본적으로 프리셋을 낮음으로 설정하고 일부 수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으니 어떻게 설정했는지 아래 사진에서 보시죠.
.
.
.
--------------------벤치마크 결과---------------------
이렇게 해서 결과가 총 00000점, 평균 프레임은 00이 나왔는데요 여기서 프레임 생성을 켜주게 되면 평균 프레임이 000까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을 토대로 내일부터 연휴 간 몬스터 헌터를 즐겨본 이후에 실제로 지연율이 많이 느껴지는지, 설정을 어떻게 변경했는지에 대해 글을 작성해 보려 합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제 블로그에서 '몬스터 헌터 와일즈'를 검색해 주세요 ㅎㅎ
감사합니다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전 키위 스파랜드 방문 후기(작전동 대형 찜질방!) (1) | 2025.03.12 |
---|---|
굴포천역 인근 산책하기 좋은 공원, 부평 신트리 공원 (0) | 2025.02.26 |